[정보보안] 침해사고 대응 7단계

침해사고란 ①해킹, 컴퓨터바이러스, 논리폭탄, 메일폭탄, 서비스거부 또는 고출력 전자기파 등의 방법이나 ② 정보통신망의 정상적인 보호ㆍ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정보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 등을 정보통신망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시스템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정보통신망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시스템을 공격하는 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사태를 말한다.(정보통신망법 제2조제7호)

침해사고 대응 7단계

침해사고 대응 7단계

출처: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민간부문 침해사고 대응 안내서

  1. 사고 전 준비
    • 사고가 발생하기 전 침해사고 대응팀과 조직적인 대응을 준비
  2. 사고 탐지
    • 정보보호 및 네트워크 장비에 의한 이상 징후 탐지
    • 관리자에 의한 침해사고의 식별
  3. 초기 대응
  4. 대응 전략 체계화
    • 최적의 전략을 결정하고 관리자 승인을 획득
    • 초기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소송이 필요한 사항인지를 결정하여 사고 조사 과정에 수사기관 공조 여부를 판단
  5. 사고 조사
    •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수행
    • 언제, 누가, 어떻게 사고를 일으켰는지, 피해 확산 및 사고 재발을 어떻게 방지할 것인지를 결정
  6. 보고서 작성
    • 의사 결정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사고에 대한 정확한 보고서를 작성
  7. 해결
    • 차기 유사 공격을 식별 및 예방하기 위한 보안 정책의 수립, 절차 변경, 사건의 기록, 장기 보안 정책 수립, 기술 수정 계획 수립 등을 결정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